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워렌버펫의 스승으로 유명한 벤저민 그레이엄은 현명한 투자자,증권분석라는 저서로도 유명하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우량주 고르는 10가지 기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자산가치를 매우 중시했던 투자자입니다.

"시가총액이 순운전자본(유동자산-유동부채)의 2/3 이하에 거래되는 주식은 무조건

매수하라"는 그의 투자법은 이미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어쨋든 그레이엄의 종목선발 기준인 < 우량 주식을 고르는 10가지 기준>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레이엄의 우량 주식 고르는 10가지 기준> 

1. 1/PER > AAA회사채 시장수익률

 2. 현재 PER < (5년평균 PER) X 0.4

 3. 배당수익률 > (AAA회사채 시장수익률) X 0.67

 4. PBR < 0.67

 5. 0 < 주가/순유동자산 < 0.67

 6. 0 < 부채비율 < 100%

 7. 유동비율 > 200%

 8. 부채/순유동자산 <2

 9. 과거 10년간 EPS 연복리 증가율 > 7%

 10. 과거 10년간 순이익 < 0 횟수 2회 이하

1~5 번까지의 항목은 주가와 이익, 배당에 중점을 둔 수익성을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그리고 6~10번까지는 해당 기업의 리스크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그레이엄은 이를 통해

수익성이 높고 리스크가 낮은 종목을 고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레이엄의 시대와는 달리 그레이엄의 우량 주식 고르는 10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10가지 항목 중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어떤 항목에 좀더

관심을 가져야 할지 한번 분류해 봤습니다

 

 

대략 10가지 기준중 7개 이상을 만족한다면 그레이엄의 가치주로 손색이 없을 것 같습니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위기준 중 5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종목을 찾기도 쉽지 않다고 합니다.

 

그만큼 위 기준이 엄격하기도 하거니와 그레이엄 시대와는 달리 터무니없이 저평가된 주식들이

 

많지 않다는 뜻이겠지요. 하지만 미국의 유명 가치투자 사이트 구루포커스에서 2004년부터 2010년

 

8월까지 (1), (3), (6), (7)번 기준만을 만족하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같은 기간 시장수익률을 93.6% 초과했습니다. 그레이엄의 중요한 몇가지 기준만 만족한다 해도

 

의미있는 결과를 낸 것이지요. 선별되는 종목을 골라 분석한 뒤 투자한다면, 그레이엄의 주장한 '잃지 않는 투자'에 좀더 가까워질 수 있을거라 봅니다.

Posted by be_answer
|

미국 부자들이 계속 기부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버크셔 헤어웨이의 워렌 버핏 회장이 금년 6월 출범시킨 기빙 플레지(The Giving Fledge)가 40명의 억만장자들이 재산 절반을 기부하기로 약속했다고 발표했답니다.

 

이 사람들의 재산의 절반을 다 합하면 1500억달러(약 175조원)가 된다고 합니다.

 

빌 게이츠는 총 재산이 530억달러로 자신이 만든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280억달러 이상을 기부하였습니다.

워렌 버핏은 2006년 470억달러의 재산의 99%를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자신들뿐만 아니라 미국 내에서 다른 부자들로 하여금 사회에 기여토록 적극적인 운동을 펴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에 참가한 40명 명단에는 다음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ㅇ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

ㅇ 오라클의 공동 창업자인 래리 엘리슨

ㅇ 에너지분야의 재벌인 T. 분 피켄스

ㅇ CNN 창업자인 테드 터너

ㅇ 영화 '스타워즈'의 감독 조지 루카스

ㅇ 투자자 로널드 페렐먼

ㅇ 연예산업의 거물인 배리 딜러

ㅇ 부동산.건설업 재벌인 엘리 브로드

ㅇ 벤처자본가인 존 도어

ㅇ 미디어 재벌 게리 렌페스트

ㅇ 시스코시스템스의 전(前)회장인 존 모리지

 

더 나아가 <재산기부운동>을 전세계로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하는데 다음달에는 중국의 부자들과 그리고 내년 3월에는 인도의 부자들과 만나 재산기부를 권유할 계획이랍니다.

 

미국이 풍부한 자원과 인력으로 세계를 좌지우지하는 것도 부럽지만 그보다는 세계를 종횡무진 누비며 “함께 살아가는 지구촌”을 만들어 나가려고 노력하는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을 가진 미국이, 그리고 이 두사람의 적극 지지하는 부자들을 가진 미국이 정말 부럽습니다.

빌 게이츠가 한국의 부자들과 만나겠다고 할 때가 언제일지 기대가 됩니다.^^

 

성경을 읽다보니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에 앞서 2000년 전 삭개오(마태)가 재산 절반 기부에 대한 선언을 먼저 했습니다.

 

삭개오가 서서 주께 여짜오되 주여 보시옵소서 내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겠사오며 만일 누구의 것을 속여 빼앗은 일이 있으면 네 갑절이나 갚겠나이다

(누가복음 19:8)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이 건강하게 오래오래 살면서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세계를 위해 많은 일을 하기를 바랍니다.^^

Posted by be_answer
|

출처 : 대한민국 20대, 재태크에 미쳐라

 

'경세제민 > 쉬운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conomics  (2) 2010.07.11
Posted by be_answer
|